부팅할 때나 윈도우를 새로 깔 때 Press any key to boot CDROM...부분에서 키보드 안먹힐 때가 간혹 있다. PS/2 키보드를 꽂으면 잘 되는데 USB 키보드나 무선 키보드를 꽂아 두면 꼭 이 부분에서 키보드가 안먹힌다. 아무키나 눌러야 윈도우 설치를 시작할 수 있는데 키보드가 안 먹히니 설치 화면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본 기자도 이런 경험을 많이 했다. 평소에는 USB 키보드는 원래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이런 증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CMOS화면으로 들어가 보면 USB Keyboard Support 라는 메뉴를 찾을 수 있다. 이 부분을 Enable로 설정해 주니 키보드가 제대로 작동 했다. Press any key to boot CDROM...부분에서 정상적으로 키보드를 누를 수 있었다. 무선 키보드들도 대부분 USB포트에 연결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 설정해 주면 윈도우 설치 시에도 문제 없이 USB 키보드나 무선 키보드를 잘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윈도우즈를 시작할 때에 매번 로그온 창이 뜨는 것도 귀찮을때가 있지요. 하지만 네트워크에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할 수 없이 계속 로그온 창이 뜨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완전히 삭제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집에서 본인 혼자서 사용하시는 컴퓨터라면 다음과 같은 절차로 로그온 창을 뜨지 않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첫번째 방법]
윈도우 시작 단추를 누르세요. 그리고 '설정' -> '제어판'까지 들어갑니다.(여기까지의 단축키는 '윈도우즈키' -> 'S키' -> 'C키'입니다.)
여러 개의 단축 아이콘들이 보이죠. 이 중에서 열쇠 모양의 '암호'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암호 등록 정보'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위에 있는 탭 중에 '암호 변경'탭을 누르세요.
암호 변경 창이 뜨죠. 이젠 여기서 '이전 암호'에는 지금까지 사용하던 암호를 입력하고 그 아래에 있는 '새 암호'와 '새 암호 확인'에는 아무 것도 입력하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확인'을 누르면 다음부터는 무의미한 질문은 안 나올 것입니다.
[두번째 방법]
바탕화면에 네트워크 환경에서 오른쪽 버튼 누르시고 등록정보를 보시면 네트워크 구성이 나옵니다.
하단쪽에 기본 네트워크 로그온 설정이 있습니다. 로그온 설정을 보시면 "윈도우즈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나 "패밀리 로그온"으로 설정되어 있을때 로그온 창이 활성화 되는것입니다.
그럼 "윈도우즈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나 "패밀리 로그온"으로 설정 되어 있는 곳을 "Windows 로그온" 으로 변경해 보세요. 윈도우 CD가 필요할지도 모르니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윈도우 CD가 없으시다면, 화일 경로 물어볼때 C:windows/system 이랑 c:windows 두 디렉토리를 번갈아 가면서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CD가 없다고 "esc"키를 누르시면 안됩니다.
xp 부팅 빠르게 하는 법 C:\WINDOWS\ Prefetch폴더에 *.pf파일을 지우고 부팅을 해보세요..그럼 빨라지니까.. 하지만 이렇게 하는건 일시적일뿐입니다..pf파일은 계속생기니까..수시로 지워줘야합니다. 그리고,,시작프로그램에 프로그램이 많이 등록되고 사용할수록 쌓이는 각종 쓰레기파일 레지스트리 파일 이런게 시스템을 느리게하고 지렁이도 많이 지나가게하니 관리를 해줘야합니다. 레지스트리 청소프로그램으로 청소해주고 필요없는 쓰레기 파일 정리하고 인터넷옵션에서 쿠키삭제 파일삭제 목록지우기 그런걸 해준뒤에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필요없는 프로그램 지워주고 디스크검사를 한뒤에 조각모음을 해주면 빨라집니다..
XP의 (지렁이 화면)부팅관련 파일은 ntoskrnl.exe 이 파일인데, 안 건드리시는게 좋습니다.. 잘못 건드렸다간 무한부팅되면서 복구자체가 어렵습니다. 물론 복구 방법도 있긴 하지만..^^
아래는 한번 읽어보시고 조금이나마 부팅을 빠르게 하고 싶다면 몇가 지체크 해제 하세요..^^ XP 부팅속도 올리기 1.시작-실행-msconfig-시작프로그램 편집
3.그리고 한가지 더 윈도우xp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서비스 항목중 일부 항목을 수동실행하는 방법입니다.
※시스템 서비스가 하는일? 시스템에서 항상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그룹입니다. (램상주프로그램일종)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하는 작업을 바로 수행키 위한 곳이기도 합니다.
◎실행방법 >시작>실행>services.msc 실행 또는 내컴을 오른쪽>관리>서비스및응용프로그램 >서비스를 누르면 항목을 볼수 있습니다.
◎그럼 중지시켜도 시스템에 무리가 없는 시스템서비스는 무엇일까요?
1.Automatic Updates:자동업데이트 기능 2.NetMeeting Remote Desktop Sharing:인트라넷,원격제어기능 사용하지 않으면 해제합니다 3.Portable Media Serial Number:휴대용 음악장치의 시리얼 넘버를 검색하는기능 4.Secondary Logon:pc를 혼자 사용하고 다른 계정을 쓰고 있지 않다면 사용을 중지시키는 편이 좋습니다. 5.Smart Card Helper ;플러그 & 플레이를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스마트카드를 설정하는 기능입니다,레거시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지시킵니다. 6.System Restore Service:시스템 복원 기능으로 시스템을 복원 할 필요가 없다면 사용을 중지 시킵니다.